[인사이트] 강유정 기자 = 의료진의 과실로 뇌 손상을 입고 태어나 영구장애를 갖게 된 어린아이.
최근 법원은 의료진에 아이가 '서른 살이 넘을 때까지 살아있다면' 이후 매월 배상금을 나눠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30일 중앙일보는 2015년 산부인과 병원 측의 과실로 인해 뇌성마비가 생긴 8살 아동에 대한 판결을 단독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서울고법 민사17부(부장판사 홍동기‧차문호‧오영준)는 한 산부인과 의료진에 약 6억 2000만원을 배상하고 원고가 30.5세가 넘는 2046년부터는 월 271만 원씩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앞서 A군은 2015년 한 산부인과 전문병원에서 태어났다.
A군의 어머니는 오전 8시에 유도 분만을 위해 해당 병원에 입원한 후 약 4시간의 진통 끝에 A군을 출산했다.
오전 11시 59분에 태어난 A군은 출생 직후 온몸에 태변(태아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뱃속에서 배출한 장내 배설물)이 묻어있는 상태였으며, 호흡이 없었다.
의료진은 바로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오전 12시 25분에 A군을 큰 병원 응급실로 이송했다.
다행히 A군은 생명을 지켰지만, 뱃속에서부터 태변을 흡입해 생긴 장시간의 호흡곤란과 산소부족으로 뇌 손상을 입었다.
A군의 부모는 2018년 산부인과 의사와 병원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진통 중에 태아 상태가 나빠진 것을 알아채지 못해 빨리 A군을 뱃속에서 꺼내지 못했고, 태어난 뒤 응급조치도 미흡했다는 책임을 물은 것이다.
결국 영구적 지적장애‧사지마비 판정을 받은 A군은 소송이 시작된 2살 때에도 사지마비 상태로 옹알이밖에 하지 못했다.
현재 8살이 된 A군은 주변의 도움 없이는 움직이지도, 대소변을 처리하지도 못한다.
A군의 부모는 기존에 쓴 진료비 및 57.5세(기대여명)까지의 치료비와 간호‧간병에 필요한 개호비, 휠체어 등 보조구 비용, 일실수입 및 위자료를 합해 26억 8000만 원을 청구했다.
1심과 2심 모두 의료진의 과실을 인정했다.
유도 분만을 시작한 후 뱃속 아기 상태를 보면서 필요한 경우 응급 제왕절개로 출산 방법을 바꾸는 등의 조치를 취했어야 하지만 아기가 분만될 때까지 기다린 점이 잘못이라고 판단했다.
이로 인해 A군에게 저산소성 뇌 손상이 생겼으며 뇌성마비가 생겼다는 것을 인정했다.
1심은 의사 2명이 A군에게 총 약 15억 9058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유도 분만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태아가 태변을 흡입해 호흡과 맥박 등이 불안정해지는 상황(태아 곤란증)을 진단하기는 쉽지 않으며, 출산 직후 응급조치 등에 중대한 과실이 없다는 점을 들어 병원 측의 책임을 60%로 제한했다.
하지만 2심은 의료진의 책임 범위를 30%로 줄였다. 중간에 A군이 처한 상황을 제때 감지하고 '응급 제왕절개로 바꾸자'라는 결정을 내렸더라도 A군이 태어난 시각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상 수술을 결정하고 준비해 제왕절개술을 시행하기까지 약 1시간 정도가 걸린다는 점이 반영됐다.
2심에서는 배상액을 지급하는 방식이 눈에 띄게 달라졌다.
재판부는 "약 6억 2000만 원을 A군에게 일단 배상하고, 향후 2046년 1월 1일 이후 A군이 생존한 경우 월 271만 원씩을 매달 지급하라"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뇌성마비 환자의 기대여명은 추후 합병증 예방‧치료, 현대의학의 발달, 가족들의 열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라는 점을 생존조건부 배상 판결의 이유로 들었다.
이는 곧 A군의 수명 예측이 확실치 않다는 것이다.
의료진 측은 "기대여명이 30세 남짓"이라고 주장하면서 "1심에서 정한 약 60세까지의 배상금을 지급했다가 혹시 A군이 일찍 사망할 경우 되돌려 받을 방법이 없다"라고 항변했고 해당 취지가 상당히 반영됐다.
이에 재판부는 양측이 동의하는 약 30세까지의 배상금은 모두 곧장 지급하고, 생존 가능성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불확실한 미래의 기간에 대해서는 "생존할 경우 지급하라"라고 결정한 것이다.
이에 A군 측은 "논리는 이해하나, 원고 입장에서는 '나중에 저 병원이 망하거나 해서 지급을 못 받게 되면 어떡하지' 등 여러 불안함이 있다"라면서 아쉬운 반응을 보였다.
A군 측의 변호사는 중앙일보에 "미래의 정기금 지급 판결을 받았더라도, 상대방이 회생 절차에 들어가거나 모두 사망할 경우 미래에 강제집행이 어려울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기금은 강제집행 대상이 아닌 데다, 확정 시점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어 현재의 제도로는 대불을 청구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사건은 양측이 상고해 대법원의 판단을 받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