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 시스템의 사적 활용 논란
전남 지역 소방 고위 간부들이 긴급 상황 전파용 '비상발령동보시스템'을 개인 경조사 알림에 활용한 사실이 드러나 내부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해당 소방서는 공식 사과에 나섰지만, 일선 소방대원들의 불만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모양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11일 뉴스1에 따르면 지난 9일 전남 순천소방서는 비상발령동보시스템을 통해 한 간부의 자녀 결혼식 일정과 장소, 심지어 축의금 계좌번호까지 포함한 메시지를 소방대원들에게 일괄 발송했다.
같은 날 나주소방서 소속 간부 역시 동일한 시스템을 통해 자녀 결혼식 정보를 전파했다. 화재나 재난 등 위급 상황에 쓰여야 할 시스템이 사실상 청첩장을 돌리는데 사용된 셈이다.
소방 내부 반발 확산
문제가 된 비상발령동보시스템은 화재나 재난 상황, 긴급 출동 명령 등 비상사태 발생 시 신속한 정보 전달을 위해 구축된 공적 체계다.
이 시스템은 모든 소방대원의 휴대전화로 즉각 메시지가 전송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ChatGPT
내부적으로는 당직 근무 안내나 음주 기강 관리 같은 공적 공지에도 활용돼 왔으나, 일부 소방서에서 간부 공무원들의 사적 경조사 알림 창구로 전용한 것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소방 내부 게시판에는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비상발령동보시스템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라', '비상발령시스템이 알림 시스템으로 전락했다', '과장 이상급들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본인 경조사를 널리 알림에 경의를 표한다' 등의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한 소방대원은 "하위직원들은 지시에 따라 묵묵히 일하는데, 간부들은 단체 채팅방에 이어 비상 문자까지 보내며 본인 행사 홍보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대원들의 비판이 확산되자 순천소방서는 직원 게시판에 사과문을 게시하고 "비상발령동보시스템을 통해 사적인 메시지가 전달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ChatGPT
그러나 공적 시스템의 사적 남용에 대한 소방 내부의 비판 여론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