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 10℃ 서울
  • 10 10℃ 인천
  • 10 10℃ 춘천
  • 10 10℃ 강릉
  • 10 10℃ 수원
  • 8 8℃ 청주
  • 8 8℃ 대전
  • 9 9℃ 전주
  • 9 9℃ 광주
  • 8 8℃ 대구
  • 12 12℃ 부산
  • 14 14℃ 제주

[신간] '상황인지'

이 책에서는 상황인지론에 입각한 새로운 환경 개념을 살피며, 이 새로운 환경 개념이 기존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연구가 마주한 프레임 문제에 어떤 해결책을 줄 수 있는지를 살핀다.

인사이트사진 제공 = 커뮤니케이션북스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우리는 일반적으로 '어떤 형태의 지식'을 머릿속 '실체'로 상정하고 그것이 발휘되는 것이 '지성'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우리가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의 지각관으로부터 알게 모르게 물려받은 유산이며, 이는 현대의 주류 심리학 연구인 인지심리학의 사상적 기반이기도 하다. 실제로 현대의 인공지능연구는 인지심리학에 기초해 막대한 지식을 컴퓨터에 담아 여러 분야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어왔다.


그러나 인지심리학의 관점은 오늘날 인공지능이 마주하는 프레임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여기서 프레임 문제란 '어떤 행위에 관련된 것과 관련되지 않은 것을 환경 속에서 구별하는 문제'를 말한다.


인간에게는 행위에서 환경 내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를 처리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행위에 관한 것만 취사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러나 인간에게 너무나 당연한 이 작업을 인지심리학 기반으로 설계된 로봇이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인지심리학적 '지식'을 부여받은 로봇은 현실 속 넘쳐나는 막대한 정보 중 현재 행위와 관련 있는 이른바 '상식'을 픽업할 수 없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을 지각하고 그것을 나름대로 정의하고 추론, 해석하는 것만으로도 힘에 부치기 때문이다. 이것이 이 책에서 비판하는 인지심리학적 관점, 혹은 '표상주의'의 관점이다.


우리들이 살아가는 세상은 고정된 '스냅사진'이 아니라 주변과 섞이고 늘 새롭게 바뀔 수 있는 '스케치' 같은 무엇이다. 인간은 주변의 요청에 따라 바뀌는 존재일 뿐 아니라 자신의 필요와 창의에 의해서 스스로를 바꾸어 가는 존재다. 인간과 세상은 서로 끝없는 '피드백' 과정을 통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환경을 객체가 아닌 우리와 함께 역동하는 상호관계 자체로 보는 것이 상황인지론의 관점이다.


이 책에서는 제임스 깁슨(James Gibson)의 생태주의심리학, 야콥 폰 윅스퀼(Jakob Johann von Uexküll)의 생물학적 관점 등 상황인지론에 입각한 새로운 환경 개념을 살피며, 이 새로운 환경 개념이 기존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연구가 마주한 프레임 문제에 어떤 해결책을 줄 수 있는지를 살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AI, 로봇 연구 등 여러 분야에서 "지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지식'과 '환경'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