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16℃ 서울
  • 8 8℃ 인천
  • 16 16℃ 춘천
  • 15 15℃ 강릉
  • 16 16℃ 수원
  • 13 13℃ 청주
  • 13 13℃ 대전
  • 11 11℃ 전주
  • 13 13℃ 광주
  • 16 16℃ 대구
  • 18 18℃ 부산
  • 16 16℃ 제주

1만원권 지폐 속 '세종대왕' 얼굴은 사실 '화가'와 쏙 빼닮았다

1만 원권에 그려진 익숙한 세종대왕의 모습이 사실 이 영정을 그린 화가의 모습과 닮았다는 사실을 아는가.

인사이트(좌) 인사이트, (우) 온라인 커뮤니티 


[인사이트] 황비 기자 = 지폐 속에서 우리를 보고 인자하게 웃고 있는 세종대왕.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모습이다.


광화문에 우뚝 선 세종대왕 동상 역시 1만 원권 지폐를 참고해 제작된 것이다.


물론 이는 세종대왕의 진짜 얼굴은 아니다. 세종대왕의 어진은 다수 존재했던 것으로 기록돼 있지만 임진왜란 등의 전란과 6.25의 화재로 전부 소실 됐기 때문이다.


인사이트KBS 1TV '역사저널 그날'


조선 왕조 27명의 왕 중 실제 얼굴을 알 수 있는 임금은 6명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익숙한 세종대왕의 얼굴은 어떻게 등장한 것일까?


1만 원권 지폐에 등장한 세종대왕의 얼굴은 국가가 인정한 '표준 얼굴'이다. 표준 영정이란 '국가가 공인한 선현(先賢)의 초상화'를 말한다.


세종대왕의 영정은 지난 1973년 세종대왕기념사업회의 의뢰를 받은 화가 운보 김기창(1913~2001)이 그렸다.


운보가 역사학자들의 의견과 기록, 그리고 자신의 상상력을 더해 그린 것이 바로 지금 세종대왕의 얼굴이다.


그러나 이 세종대왕의 영정은 이후 영정을 그린 운보의 친일 행적과 상상으로 그린 임금의 영정을 인정할 수 있는지 등 많은 논란에 휩싸였다.


인사이트(좌) 네이버, (우) 온라인 커뮤니티 


그중 사람들의 눈길을 가장 많이 끈 논란은 바로 세종대왕의 얼굴이 화가의 얼굴이 흡사하다는 것이었다.


영정 속 세종대왕은 쌍꺼풀이 없는 눈과 둥근 콧방울, 그리고 후덕한 인상을 하고 있다.


이는 운보 김기창의 모습과도 흡사하다.


이런 논란은 1천 원권에 그려진 퇴계 이황의 표준 영정에서도 재현됐다.


우리에게 익숙한 1천 원권 속 퇴계 이황 역시 표준 영정이며, 이는 이유태 화백의 상상으로 그린 것인데 두 사람 역시 닮았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예술가들은 얼굴을 그리거나 조각할 때 은연중에 자신과 비슷하게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한편 외국의 경우 이런 논란 때문에 표준 영정을 인정하지 않으며 교과서나 공식 자료에는 출처를 밝힌 다양한 초상을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