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서 포획된 길이 10cm '초대형 화살벌레'
남극 2000m 심해에서 길이 10cm의 초대형 화살벌레가 포획됐다.
20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심해에서 초대형 '화살벌레'와 '열수광석'을 채집했다고 밝혔다.
평균 길이 0.5cm~3cm의 중형 플랑크톤 '화살벌레'는 어느 바다에서나 쉽게 볼 수 있지만, 이번에 발견된 10cm의 초대형 화살벌레는 맹 이례적인 크기다.
초대형 화살벌레는 지난 2017년 초남극 중앙해령에서 수중 카메라로 존재가 확인된 바 있으나, 실물이 채집돼 외부에 공개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 제공 = 극지연구소
초대형 화산벌레는 지난 2월 아라온호로 남극 중앙해령 수심 2000m 지점 열수분출구로 탐사를 떠난 극지연구소 박숭현 박사 연구팀에 의해 포획됐다.
연구팀은 연구소에서 자체 제작한 심해용 채집 장비를 활용해 포획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화살벌레는 약 10억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유전체를 갖고 있으나, 몸집이 작아 유전체 분석에 필요한 DNA를 충분히 얻기 어려워 상대적으로 유전 정보가 덜 알려져 있다.
사진 제공 = 극지연구소
따라서 연구팀의 이번 포획은 남극 심해 환경에 적응한 유전자 발굴과 지구 생태계 진화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총무게 350kg에 달하는 열수광석 102점도 함께 채집했다고 밝혔다.
열수광석은 중앙해령에 침투한 바닷물이 마그마의 영향으로 뜨거운 물, 즉 '열수'가 된 후 주변 금속을 녹여내고 해령 밖으로 분출돼 식으면서 생겨난다.
사진 제공 =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채집한 열수광석은 구리, 아연 등 유용 금속을 함유한 황동석, 섬아연석 등으로 판단돼 경제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남극권 중앙해령에서 열수 광석이 직접 채집된 것 역시 이번이 처음이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이번 미지의 남극 바다에서 얻은 선물이 해양 생태계와 무척추동물의 진화, 생리 연구에 널리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 제공 = 극지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