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콘텐츠, 넷플릭스에서 미국 다음으로 인기 높아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Ampere)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 콘텐츠가 미국 할리우드에 이어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페어는 15일(현지시간) "한국 프로그램이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넷플릭스의 시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콘텐츠는 2023년 이래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 콘텐츠(56∼59%)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8∼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영국(7∼8%)과 일본(4∼5%) 콘텐츠를 앞선 수치다.
Netflix '오징어게임2'
전통적으로 영국은 미국 할리우드에 이어 양질의 드라마 시리즈를 제작해 세계 시장에 공급해 왔으며, 일본은 각종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세계적인 팬층을 확보해왔지만, 최근 한국 콘텐츠의 급부상으로 글로벌 시장의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히트작으로는 지난해 하반기 스트리밍 6억1천990만 시간을 기록한 '오징어 게임' 시즌2를 비롯해 로맨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 요리 예능 '흑백요리사' 등이 꼽혔다.
tvN '엄마친구아들'
특히 주목할 점은 '오징어 게임' 시즌1과 '눈물의 여왕', '사랑의 불시착' 등 수년 전 공개된 드라마들도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시청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공은 오랫동안 확립된 콘텐츠 제작 및 라이선싱 전략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암페어의 분석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넷플릭스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드는 한국 작품의 절반 이상이 자체 오리지널 작품이었고 31%는 넷플릭스 독점이었으며, 그중 대다수를 한국의 콘텐츠 강자인 CJ ENM이 제공했다.
한국 콘텐츠 산업의 미래 전망
넷플릭스는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약 3조5천708억원)를 투자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한국 콘텐츠 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CJ ENM을 비롯한 한국의 콘텐츠 업체들도 글로벌 '한류' 현상에 적극 동참하며 대규모 투자와 해외 스튜디오들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vN '엄마친구아들'
암페어의 리서치 매니저 오리나 자오는 할리우드 매체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콘텐츠는 '오징어 게임'과 '킹덤'과 같은 히트작과 함께 지속적인 시청 시간을 끌어내며 넷플릭스의 세계적인 성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제작과 라이선스 콘텐츠를 포함한 고품질의 한국 작품에 계속해서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닌 체계적인 전략과 투자, 그리고 독창적인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앞으로도 한국 콘텐츠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미국에 이은 강력한 콘텐츠 파워하우스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