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층에서 취득 시 취업률이 가장 높은 국가자격은 기계정비산업기사로 나타났다.
반면, 55세 이상의 고령층에서는 전기기능사와 한식조리기능사가 취업 확률을 가장 많이 높여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결과는 2023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2024년 고용상태를 건강·고용보험 가입 여부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74만 명 중 미취업자는 약 44.5만 명으로 전체의 60.1%를 차지했다.
이들 중 절반가량인 47.5%는 자격 취득 후 1년 내에 취업에 성공했다.
고용노동부
자격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취업률 차이는 7.9%포인트로 나타났다.
특히, 기사 등급의 경우 취업률이 가장 높았으며(58.9%), 산업기사 등급(56.2%), 서비스 분야(47.3%), 기능사 등급(44.1%)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취득하는 국가기술자격은 컴퓨터활용능력, 지게차 운전기사, 산업안전기사, 굴착기 운전기사, 전기기능사 순이었다. 그러나 이들 자격의 취업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미취업자' 기준으로 보면, 전기산업기사(73.9%), 산림기능사(71.9%), 산업위생관리기사(71.5%)의 이듬해 취업률이 높았다.
취득 인원이 적은 자격에서도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고용노동부
에너지관리산업기사(79.4%)와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76.9%)는 비교적 적은 인원이지만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승강기기사(82.1%) 및 생산자동화산업기사(81.1%)도 마찬가지였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에서는 기계정비산업기사(67.5%), 전기산업기사(64.3%), 산업위생관리기사(61.2%)가 높은 취업률을 보였고, 고령층에서는 전기기능사(58.1%), 한식조리기능사(54.3%), 조경기능사(50.3%)가 두드러졌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기계정비산업기사(67.0%), 전기산업기사(66.9%), 공조냉동기계기능사(57.9%)가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고용노동부
여성은 웹디자인기능사(57.8%), 컴퓨터활용능력2급(53.3%), 직업상담사2급(51.5%)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임영미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많이 취득하는 자격과 실제로 취업에 유리한 자격 간에는 차이가 있다"며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직무 능력 개발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분석 결과는 개인의 특성과 목표에 맞춘 전략적인 자격증 선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