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16℃ 서울
  • 8 8℃ 인천
  • 16 16℃ 춘천
  • 15 15℃ 강릉
  • 16 16℃ 수원
  • 13 13℃ 청주
  • 13 13℃ 대전
  • 11 11℃ 전주
  • 13 13℃ 광주
  • 16 16℃ 대구
  • 18 18℃ 부산
  • 16 16℃ 제주

"절친은 최소 OO만원"...축의금 액수 '기준' 딱 정해드립니다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야 할 지 기준이 없는 사람들을 위한 6가지 기준이 등장했다.

인사이트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축의금 액수 기준 딱 정해드립니다"...6가지 기준 


[인사이트] 정봉준 기자 = 친구·직장 동료가 결혼한다면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야 적당한 걸까.


자신이 결혼했다면 조금 낫다. 내가 결혼할 때 받은 축의금 이상만큼만 내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결혼하지 않은 사회초년생은 머리를 쥐어 싸게 된다.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런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누군가 기준을 제시했다. 그런데 꽤 많은 사람이 공감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9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축의금 액수 기준 딱 정해드립니다"는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축의금 내는 기준을 총 6가지로 정의했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절친은 20만 원...상대방 부모님이 내 얼굴을 안다면 15만 원


첫 번째는 '웃는 얼굴로 쌍욕 주고받는 절친'이다.


그냥 친구도 아니고 절친이다. 절친은 평생 봐야 하기 때문에 축의금 액수가 가장 높다. A씨가 정한 축의금 기준은 20만 원 이상이었다.


지역과 식장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 식비가 5만 원이라 가정했을 때 20만 원이란 액수는 나름 후한 금액이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두 번째는 '결혼하는 사람의 부모님이 내 이름을 안다'이다.


학교 다닐 때를 생각해보면 친한 친구의 부모님 얼굴은 한 번쯤은 보게 된다. 


부모님의 얼굴을 안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큰 상징성을 띠게 된다. 해당 관계에서 내야 할 축의금은 15만 원 이상이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주기적으로 만난다면 10만 원...직장 동료면 5만 원


세 번째는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한 친구'다.


친하긴 친하다. 그런데 부모님 얼굴을 알 만큼 집에 놀러 간 적도 없고, 밖에서 간간히 보는 사이다.


이런 경우에는 축의금 액수가 딱 10만 원이 적당하다고 했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네 번째는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사이'다.


A씨는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사이'로 직장 동료를 예로 들었다. 직장 동료는 하루 중 가족보다 더 오랜 시간 얼굴을 보게 되는 사이다.


그렇다 보니 친하진 않더라도, 결혼한다고 하면 괜히 의식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딱 식비인 5만 원으로, 서로 부담 주지 않는 금액에서 주고받자고 권하고 있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1년에 한 번 볼까 말까 한 사이면 3만 원


다섯 번째는 '1년에 한 번 볼까 말까 하는 사이'다.


거리가 멀어서 일 수도 있다. 그러나 죽고 못 살 정도로 정말 친한 사이라면 물리적으로 먼 거리는 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냥 친하지 않은 사이인 셈이다.


이런 경우에는 딱 3만 원이 적당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옵션으로는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지 않아도 된다고까지 부연하고 있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Facebook 'kakaopage'


마지막 여섯 번째는 '연락 없다가 카톡으로 청첩장만 보내는 사람'이다.


가장 민망한 경우다. 주는 사람은 어땠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걸 왜 나한테?"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단 한 번도 연락하지 않다가 카톡으로 청첩장 보내는 사람...0원이면 충분 


축의금은 빌 축(祝)자가 포함된 단어다. 전재는 축하하는 의미가 담겨있어야 한다.


그런데 뜬금없이 카톡으로 '띡' 하고 결혼 소식을 알리면,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결혼하니깐 축의금 좀 내러 와라"는 의미처럼 해석될 수도 있다. A씨는 이런 경우 0원을 내라고 권장한다.


대신 결혼은 축하할 일이기 때문에 이모티콘 정도로만 대신해도 된다고 덧붙였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편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적정 축의금은 약 7만 9천 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월 6일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적정 축의금은 평균 7만 9천 원이다.


조사는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고, 5만 원(48%)과 10만 원(40%)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인사이트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들은 결혼식 참석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큰 기준을 '상대와의 친밀도'를 꼽았다.


또 결혼식 청첩장을 받을 때 여성은 66%가, 남성은 48%가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