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외 마스크는 전면 해제됐는데 '실내'는 언제 벗나요?..."지금 해야 돼 vs 아직 일러"
실외 마스크가 전면 해제된 가운데 실내 마스크 해제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오는 26일부터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전면 해제된다.
23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다음 주 월요일(26일)부터 야외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를 전면 해제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50인 이상이 모이는 야외 집회에 참석할 때나 공연,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때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한 총리는 해당 방침에 대해 "코로나19 재유행의 고비를 확연히 넘어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거리 두기가 없어도 한결같이 방역에 힘을 모아주고 계신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정부는 방역 상황과 국민 불편 등을 감안해 위험성이 낮은 방역 규제는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하나씩 해제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당분간 유지"
다만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당분간 유지된다.
한 총리는 "독감 환자 증과 및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 등을 고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 총리는 국민 1만 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에 대해선 "백신 접종과 자연 감염을 통해 약 97%가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자연 감염에 의한 항체 양성률은 약 57%로, 같은 기간 확진자 누적 발생률 38%보다 약 19%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20% 내외의 미확진 감염자가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앞으로 항체 수준 변동에 대한 장기 추적조사를 하는 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대책 수립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실내 마스크 해제에 대한 국민들 반응... "당장 해도 무방 vs 아직 일러"
실외 마스크 전면 해제가 확정되자 국민들은 '실내 마스크 의무화 해제'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일부 국민들은 "확진자 감소세가 이어지는 만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풀어도 충분하다"며 실내 마스크 전면 해제 의무화를 주장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코로나19와 계절독감이 동시 유행이 예고되는 만큼 아직은 시기 상조"라고 말하며 부정적인 의견을 보내 시기나 단계적 범위 등을 두고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한편 한 총리가 발표했던 '양성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S(스파이크) 항원과 N(핵 단백)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보유한 비율을 말한다.
S항원에는 자연 감염과 백신 접종 후 생성된 항체가 모두 결합하기에 이 S항원 조사를 통해 국민의 어느 규모가 백신 또는 자연 감염 항체를 보유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 N항원은 자연 감염으로 생겨난 항체가 결합해 백신이 아닌 자연 감염이 어떤 규모인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