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세상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인사이트의 수많은
기사들은 여러분의 제보로부터 시작됩니다.
뉴스1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중상위권 대학의 경우 수시에 합격해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당락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수시에 합격한 학생들이 대부분 거쳐야하는 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하는 것에 대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지난 9일 입시전문 교육기업 진학사가 6월 29일부터 7월 2일까지 고3회원 76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유지하자는 답변이 10명 중 7명을 차지했다.
무려 69%(525명)가 수시에 합격해도 수능에서 일정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하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유지하자고 답한 것이다.
뉴스1
그 이유로는 '변별력을 위해서', '수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학교간 수준차이를 유일하게 판별하는 척도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축소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은 16%(122명), 폐지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은 15%(114명)를 차지했다.
최근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에서는 수시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 활용을 폐지하자는 안이 공론화된 바 있다.
뉴스1
이번 조사는 수능최저학력기준 폐지에 대해 정작 고3 학생들 다수가 반대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했다.
한편 본 조사에 따르면 고3학생들은 이번 6월 모의평가에서 가장 어려웠던 분야를 영어(47%, 358명)라고 답했다.
반면 가장 쉬운 영역은 수학(34.4%, 262명)이었다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