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4일(월)

"러브버그 일주일만 참으세요"... 돌아오는 주말쯤 자연 소멸 예상

러브버그 "일주일만 참으세요"... 주말쯤 자연 소멸 예상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5~8일 내에 자연 소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6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러브버그 발생 양상을 예측 모델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인천 계양산 정상을 뒤덮은 '러브버그' / 뉴스1인천 계양산 정상을 뒤덮은 러브버그 / 뉴스1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으로 러브버그 전체 활동의 약 86%가 이미 진행된 것으로 예측됐다. 


5~8일 내에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적으로 소멸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청의 분석 기준으로 계산하면 오는 주말인 12~13일쯤 러브버그가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러브버그 발생 특징과 생태계 영향


올해는 러브버그의 최초 발생 시기가 지난해보다 약 일주일 늦어지면서 종료 시점도 다소 늦춰졌다. 


산림과학원은 시민과학 플랫폼과 기상 자료를 결합해 러브버그의 활동 시기를 예측해왔다.


러브버그 / 뉴스1러브버그 / 뉴스1


러브버그는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는 부식성 파리류로 알려져 있다. 인체나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대량 발생 시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


전문가들은 살충제를 이용한 퇴치가 생태계에 교란을 줄 수 있어 각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방역에 나서고 있다.


러브버그 관련 민원 현황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6월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469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274건)보다 약 49.4%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러브버그 방제 민원은 2022년 4418건, 2023년 5600건, 2024년 9296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러브버그 / 뉴스1러브버그 / 뉴스1


한혜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장은 "관계 부처와 협력해 러브버그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