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4일(월)

전문가가 알려주는 '러브버그' 종식 시기... '천적'도 생겨나고 있다

러브버그, 7월 중순 이후 자취 감출 전망


도심 곳곳에서 대량 발생해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7월 중순을 기점으로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지난 1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한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원은 "수년간 발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러브버그 성충은 7월 중순 무렵이면 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그는 "보통 6월 중순부터 출현이 보고되며, 성충은 약 일주일간 생존한다"면서 "장마철이 시작되는 6월 말~7월 초를 지나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명 '러브버그'로 알려진 붉은등우단털파리 / 뉴스1일명 '러브버그'로 알려진 붉은등우단털파리 / 뉴스1


생태적 특성과 국내 유입 경로


암수가 교미 후 나란히 날아다니는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러브버그'라는 별명을 얻은 붉은등우단털파리 성충은 약 일주일간 활동하며 알을 낳고 생을 마친다.


지난 2015년 인천에서 처음 발견된 러브버그는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러브버그가 중국 산둥반도 칭다오 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해외 생물이 국내에 처음 유입될 때는 천적이 없어 개체 수가 급증하곤 한다"고 지적하며 "시간이 지나면 기존 생물들이 새로운 먹잇감으로 인식하게 되고, 점차 자연 조절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gesBank


현장 조사에 따르면, 러브버그를 포식하는 천적도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들어 까치, 참새, 거미, 사마귀 등 다양한 생물들이 러브버그를 먹는 장면이 자주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천적의 활동이 러브버그 개체 수 조절에 기여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균형 회복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생활 속 대응법과 관련해 "러브버그는 빛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어 대량 발생 시 실내 조명을 최소화하고, 외출 시 밝은 색 옷보다는 어두운 색 옷을 입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실내에 들어온 경우에는 분무기로 물을 뿌려 휴지로 제거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