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석 차지하는 비임산부들, 배려석의 현실
임산부가 아닌 시민들이 임산부 배려석을 점유하면서 정작 필요한 임산부들이 이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지하철 임산부석 현실 사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공개되어 논란이 일고 있다.
뉴스1
게시물 작성자 A 씨는 최근 지하철을 이용하던 중 목격한 상황을 사진과 함께 공유했다.
사진에는 흰머리가 희끗한 노인이 신발을 벗은 채 임산부석에 앉아있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A 씨는 당시 상황을 자세히 설명했다.
"(건너편) 앞에 나란히 앉은 엄마랑 어린 딸이 있었는데 갑자기 엄마가 딸을 무릎 위에 앉히더라. 그 앞에 서 있던 여자가 뒤돌아서 앉는데 임산부 배지가 보인다. 여자가 서 있던 곳 바로 앞이 임산부석인데 왜 서 계셨지 싶었는데 노인이 신발 벗고 지하철 바캉스를 즐기고 있었다"라고 A 씨는 전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노인 옆 임산부석에는 배가 나온 중년 남성이 앉아있었다는 점이다. A 씨는 "너무 더운 날이고 지친 거 이해하는데 굳이 비어 있는 노약자석 옮기기가 귀찮아 만삭인 임신부를 무시했을까"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임산부석 인식 개선 필요성 대두
A 씨는 이 경험을 통해 임산부석에 대한 자신의 인식도 변화했다고 밝혔다.
"막상 사람이라는 게 배려가 정말 필요한데 무시당하는 걸 보니까 생각이 바뀐다. 똑같은 돈 내고 나에게 아무 득도 없는 저 임신부석이 텅텅 비어있는 게 아깝다고 생각했었다"라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놨다.
또한 "무엇보다 배려석을 자리 맡겨둔 것처럼 당연히 내 자린데 하는 극단적인 임산부들 때문에 더 반감이 있었나 보다. 현실은 임산부석이라고 말 한마디 못 하고 기를 쓰고 무시하는 사람 앞에 배지만 달랑달랑 보이는 여성분들이 대부분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게시물에 한 누리꾼은 전날 아침 출근길에 목격한 상황의 사진을 공유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사진에는 젊은 남성이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눈을 감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임산부 정보 공유 오픈 채팅에 올라오는 사진들 보면 대부분 할머니나 아줌마들이다. 사회생활 안 해서 배려의 개념이 없는 듯", "남자가 앉든 여자가 앉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다. 정작 필요할 때 임산부가 앉지 못하는 상황이 중요하지. 그걸 고쳐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반면 "노약자석 비어 있었으면 임산부가 가서 앉지 왜 굳이 그 앞에 있는 거냐", "배려석이지 의무는 아닌데 왜 그걸 찍어서 공유하지", "누구나 똑같은 돈 내고 타는 대중교통이고, 배려일 뿐 권리는 아니다" 등의 반대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임산부 배려석은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고 임산부 배려 문화를 확산하고자 2013년 서울 지하철에 도입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했다.
지난해부터는 지하철 내 임산부 배려석 비워두기 캠페인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