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Pexels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샌제이 모한티 교수팀은 최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화학회 춘계학술대회(ACS Spring 2025)에서 천연 및 합성 껌을 씹을 때 얼마나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섭취될 수 있는지를 조사한 예비 연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껌을 씹는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침과 섞여 체내로 들어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잠재적으로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모한티 교수는 "이번 연구가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에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과학자들은 식품, 음료, 포장재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매년 수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유입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건강 영향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껌은 보통 고무 베이스와 감미료, 향료 등으로 구성되며, 천연 껌은 치클이나 나무 수액 같은 식물성 폴리머를 사용한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반면 합성 껌은 석유 기반 폴리머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막대한 양이 소비되는 껌이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 공급원으로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는 점을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합성 껌 5개 브랜드와 천연 껌 5개 브랜드를 실험 참가자에게 씹게 한 후 타액 샘플을 채취해 미세플라스틱 방출 속도와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껌 1g당 평균 1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었으며 일부 제품에서는 최대 63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이는 무게가 보통 2~6g인 껌 하나에서 최대 3천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부분의 미세플라스틱은 껌을 씹은 후 처음 2분 이내에 방출되었고, 전체의 94%가 8분 안에 방출됐다.
연구팀은 타액 속 효소보다는 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강한 마모성이 미세플라스틱 방출의 원인이라고 분석하며, 새 껌보다 한 조각을 오래 씹는 것이 노출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모한티 교수는 이번 실험에서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20㎛ 이상의 미세플라스틱만 식별할 수 있었으며, 훨씬 작은 나노미터 크기의 플라스틱 입자는 검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나노미터 크기 플라스틱 방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