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익스프레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물건을 산 뒤 주문하지도 않은 택배를 6개월 동안 50여 개를 받았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16일 부산 남부경찰서에 따르면 부산 남구에 거주하는 30대 남성 A씨는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계속 배달된다"며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간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를 통해 주문하지 않은 물품을 30여 차례 배송 받았다.
지난 2023년 12월에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택배가 도착하자 A씨는 자신이 주문하고 잊었던 물건이라고 생각해 택배를 뜯어봤다가 여성 원피스가 담긴 것을 목격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심지어 빈 택배 봉투도 많았고 자투리 천 조각 등 쓰레기가 든 것도 있었다. 그렇게 받은 택배는 모두 50개가 넘는다.
A씨의 이름과 연락처가 적힌 택배가 집 근처 초등학교나 관공서 등으로 배송되는 일도 벌어졌다. A씨 주장에 따르면 이러한 '택배 폭탄'은 A씨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물건을 구매한 뒤부터 발생하고 있다.
A씨는 수상한 택배에 혹시 유해 물질이 들어있는 건 아닌지, 범죄에 연루되는 건 아닌지 겁이 나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또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고객센터에 전화해 반품 등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본사가 아니라 결정 권한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고 한다.
신고를 접수한 부산 남부 경찰서는 알리익스프레스 중국 본사와 접촉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는 입건 전 조사 단계로 알리익스프레스 고객센터를 상대로 주문자 정보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최근 온라인에는 A씨처럼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한 뒤 주문하지 않은 택배를 받았다는 제보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를 두고 쇼핑몰 판매자가 불특정 다수에게 택배를 발송해 판매 실적을 부풀리는 '브러싱 스캠'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한편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이용자는 최근 800만 명을 넘어섰다. 저가를 내세우며 국내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만큼 소비자 피해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미인증 제품 판매, 개인정보 노출, 유해 물질 등 1년 사이에 소비자 피해 사례가 3배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