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최재원 기자 = 학생 수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수도권 13개 국립대학이 교명에 '국립'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도록 교육부에 교명 변경을 요청했다.
9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13개 국립대학이 신청한 교명 변경을 일괄 허용하기로 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교명 변경을 신청한 국립대는 강릉원주대, 공주대, 군산대, 금오공대, 목포대, 목포해양대, 부경대, 순천대, 안동대, 창원대, 한국교통대, 한국해양대, 한밭대 등 13곳이다.
지방 국립대들이 교명에 '국립'을 붙이려는 이유는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충원이 어려워진 이유가 크다.
이들 학교는 '국립대'라는 위상을 강조하면 입생을 유치하고 졸업생 취업률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경북대·부산대 등 광역지자체 이름이 포함된 대학은 국립대로써 인지도가 높다. 다만 기초지자체명이 들어간 경우는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일각에서는 이들 학교가 국립대임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실제로 거점국립대지만 광역지자체명을 따지 않은 경상대는 2021년 경남과학기술대와 통합하면서 '경상국립대'로 이름을 바꿨다.
교육부는 이번 계기로 국립대 통폐합 규정도 정비한다.
대학 구조개혁과 특성화를 위해 필요한 경우 교육부 장관이 2개 이상의 대학을 통폐합할 수 있도록 시행령에 명시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