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서울 목동으로 이사한 현직 의사가 직접 체험한 '학군'의 차이
개인의 노력과 의지가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의사가 목동으로 이사한 뒤 느낌 소감을 전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함철민 기자 = '개천에서 용 났다'라는 말을 몸소 실천하고 인생의 성공을 거둔 의사는 아내의 성화에 못 이겨 경기도의 한 도시에서 목동의 낡고 허름한 아파트로 이사를 갔다.
이 아파트를 사는데 그동안 모았던 재산을 모두 쏟아부어야 했다.
이후 학군보다는 개인의 노력과 의지가 중요하다고 여겼던 의사의 생각은 180도 달라지게 됐다.
그는 "집이 좁아지고 차가 막히고 그런 불편함을 빼고, 왜 강남 집값이 그렇게 비싸고 학군 학군 하는지 뼈저리게 느꼈다"고 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사 오기 전, 경기도의 한 도시에서 살았을 때 그는 '네가 의사인데 이 정도는 희생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식의 말을 종종 들어야 했다.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자식에게 좋은 물건을 사주면 며칠 뒤 친구들이 망가뜨려 놓거나, 잃어버리거나, 뺏기는 일이 파다했다.
목동으로 이사 온 후로는 그런 일이 전혀 없었다. 자신의 아이가 남의 장난감에 손을 댔는데 피해 아이 부모가 오히려 '미안하다'고 말하는 일도 있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아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건·사고도 차원이 달랐다.
전에 살던 곳에서는 주의가 산만한 아이들이 많아 '요즘 ADHD(집중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흔하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목동에서는 주의가 산만한 애들이 있으면 치료부터 하는 게 당연한 일이었다.
전에 살던 곳처럼 아이들이 욕을 하는 경우도 없었다. 목동의 아이들도 욕을 하는 경우가 있긴 했으나 귀여운 수준이었고 어른을 보면 인사도 잘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누가 시키지 않아도 아이들이 알아서 공부를 한다는 점 또한 목동의 하나의 문화였다.
남성은 "아이에게 공부를 시킨다는 게 그 동네에서는 잘 사는 집 부모들의 호들갑이었지만 여기서는 그냥 그 자체가 문화"라며 "사교육은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친구들과 노는 곳"이라고 했다.
목동에서 사교육을 안 받는 건 "교육 체계에 저항하는 잔다르크가 아니라 그냥 왕따로의 하이패스일 뿐"이라고도 주장했다.
학원에서 영어부터 수학, 상식, 도덕은 물론 친화력까지 배워온다는 이유였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는 최대한 돈을 모아서 강남을 가거나 최소한 목동에서라도 버틸 거라고 밝혔다.
자신이 '부자들은 악독하고 착취적, 서민들은 착하고 인간적'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정 반대였다며 "곳간에서 인심 난다고 부자들이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라는 말을 백배 더 잘한다"고 덧붙였다.
과거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재됐던 해당 글은 최근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누리꾼들은 이 의사의 글에 공감을 표하며 "학군 사는 애들은 돈 뜯다가 경찰서는 안 갈 것 같다", "인맥, 공부환경, 사고, 자신감을 키우는데 훨씬 낫다", "근묵자흑이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