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 20℃ 서울
  • 18 18℃ 인천
  • 21 21℃ 춘천
  • 22 22℃ 강릉
  • 20 20℃ 수원
  • 20 20℃ 청주
  • 21 21℃ 대전
  • 19 19℃ 전주
  • 21 21℃ 광주
  • 22 22℃ 대구
  • 19 19℃ 부산
  • 20 20℃ 제주

명품 브랜드 업체, 급여도 명품일까?

명품 브랜드 업체의 직원 급여가 국내 기업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을 팔면서도 정작 직원들은 명품 급여는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byalice.tistory.com


명품 브랜드 업체의 직원 급여가 국내 기업 평균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각 명품 브랜드 공식수입원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실적을 공개한 구찌, 프라다 등 7개 명품 업체의 임직원 급여 평균은 3천65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300인 이상 기업의 지난해 상용근로자 임금평균(연 5천500만원)의 3분의 2 수준이다.

이들 가운데 임직원 수가 24명으로 적고, 1인당 급여가 1억원인 한국로렉스를 제외하면 급여 평균은 3천595만원으로 낮아진다. 

이 평균치는 상대적으로 고액 연봉자인 임원을 포함하는 만큼 이를 뺀 직원만의 급여 평균은 더 떨어지게 된다.

업체별로는 불가리코리아가 4천75만원으로 한국로렉스에 이어 가장 높았고, 프라다코리아와 구찌그룹코리아가 3천920만원 안팎이었다. 페라가모코리아는 2천917만원으로 비교 대상 업체 중 가장 낮았다.

이들 업체의 전년대비 평균 임금상승률은 7.4%로, 노동연구원의 발표치 3.6%를 웃돌았다.


ⓒ인사이트(자료제공: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명품 업체의 지난해 실적은 내수 불황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7개 브랜드가 지난해 국내에서 올린 총 매출액은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스와치그룹코리아(26.2%), 스와로브스키코리아(23.9%) 등 5개 업체의 매출이 상승했고 구찌그룹코리아와 불가리코리아는 각각 5.2%, 2.6% 감소했다.

전체 순이익도 전년대비 7.5% 늘어났다.

국내 명품 업체 중 실적 규모가 가장 큰 루이비통코리아는 2012년 유한회사로 전환,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아 지난해 실적이 공개되지 않았다.

▲ 여자는 ‘명품백’, 남자는 ‘명품시계’

▲‘21세기 신데렐라’ 케이트 미들턴의 ‘완판패션’

인사이트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