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세상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인사이트의 수많은
기사들은 여러분의 제보로부터 시작됩니다.
뉴시스
[뉴시스] 김양수 기자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갯대추나무의 탁월한 비만 개선 효능이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가 갯대추나무 열매와 가지, 잎의 추출물을 이용해 지방세포 유도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열매와 가지, 잎 모두에서 지방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고 특히 잎은 약 50%까지 지방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지방식이(食餌)로 비만을 유도하면서 동물에게 갯대추나무 잎을 동시에 섭취시켰을 경우 단독 섭취군보다 내장지방이 77.4%까지 감소하는 것을 미세단층 촬영기(CT)를 통해 확인했다.
갯대추나무(paliurus ramosissimus(Lour.) Poir.)는 갈매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는 2~3m까지 자란다. 여름에 연한 녹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건과(乾果)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뿌리는 해독 효능이 있으며 잎은 토혈 및 치창 치료에 효능이 있다. 나무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염색식물로 주로 우리나라 제주도에 분포한다.
뉴시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가 지난 1월 등록됐고 관련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에 논문 게재를 준비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서정원 소장은 "갯대추나무 잎은 식품원료로 등록돼 있지 않아 사용에 제약이 있지만, 비만 억제 산림자원으로 고도화해 소득 수종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