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16℃ 서울
  • 8 8℃ 인천
  • 16 16℃ 춘천
  • 15 15℃ 강릉
  • 16 16℃ 수원
  • 13 13℃ 청주
  • 13 13℃ 대전
  • 11 11℃ 전주
  • 13 13℃ 광주
  • 16 16℃ 대구
  • 18 18℃ 부산
  • 16 16℃ 제주

조선 시대 어머니들이 전쟁터 끌려가는 아들 몸에 문신을 새긴 이유

군번줄은 전쟁터에서 사망한 군인의 신분을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각 군의 명칭과 군인의 이름, 군번, 혈액형이 기재돼 있다.

인사이트KBS 2TV '태양의 후예'


[인사이트] 황기현 기자 = 대한민국 군인이라면 입대 직후 누구나 군번줄을 부여받는다.


군번줄은 전쟁터에서 사망한 군인의 신분을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각 군의 명칭과 군인의 이름, 군번, 혈액형이 기재돼 있다.


그렇다면 군번줄이 없었던 조선 시대에는 어떻게 전사자의 신분을 확인했을까.


당시에는 군인들 몸에 문신을 새기는 '부병자자(赴兵刺字)' 풍습으로 이를 대신했다.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이는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더라도 몸에 새겨진 문신으로 가족을 찾고, 고향 땅에 묻히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낸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문신은 국가가 아닌 가족들이 직접 새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아버지나 아들을 전쟁터로 보내기 전날, 가족들은 그들의 몸에 문신을 새기며 눈물을 쏟곤 했다고 한다.


한편 문신은 전쟁 중 떨어진 군사들의 사기를 끌어 올리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했다.


인사이트온라인 커뮤니티


이 같은 내용은 조선 태조로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순조 11년 일어난 홍경래의 난(亂) 당시 용천부사 권수(權琇)는 반란군에게 거듭 패퇴하며 수세에 몰렸다.


절체절명의 상황에 처한 그는 병사들 앞에서 팔뚝에 문신을 새겨 병사들을 응집시키고 의지를 다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