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 10℃ 서울
  • 10 10℃ 인천
  • 10 10℃ 춘천
  • 10 10℃ 강릉
  • 10 10℃ 수원
  • 8 8℃ 청주
  • 8 8℃ 대전
  • 9 9℃ 전주
  • 9 9℃ 광주
  • 8 8℃ 대구
  • 12 12℃ 부산
  • 14 14℃ 제주

'청년임대주택' 생기면 범죄 발생한다며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

청년임대주택을 반대하는 주민들 때문에 2030 청춘들이 거리로 쫓겨나고 있다.

인사이트MBC '자체발광 오피스'


[인사이트] 심연주 기자 = 고시원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 한 줄기의 가격은 7만 원. 청년들은 월세 7만 원을 아끼고자 오늘도 깜깜한 방에서 하루를 보낸다.


서울에 집이 없는 청춘들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방값'이 너무 부담스럽다.


발품을 팔아 겨우겨우 방을 얻어도 다달이 빠져나가는 월세 때문에 취미 생활을 하기도, 결혼 자금을 모으기도 어렵다.


지난 2016년 부동산 정보 어플리케이션 '다방'에 따르면 서울 시내 주요 지역 원룸 월세는 평균 49만원이었다. 


사회초년생과 대학생들에게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방값 때문에 청년들이 허덕이고 있다.


서울시는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청년임대주택' 정책을 시행 중이다.


현재 57곳에서 2만 2,000가구의 역세권 청년임대주택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8만 가구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청년들이 도심 안에서 창업과 취업 등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성장 사다리'가 될 청년임대주택.


그런데 이를 반대하고 나서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청년임대주택이 들어서는 지역 주민들이다.


지역 주민들이 청년임대주택을 반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청년들이 모이면 소음·교통혼잡·수면 방해 등은 물론 범죄가 발생해 '집값'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임대 사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주민들이 생존권에 위협을 느낀다는 것이다.


인사이트(좌)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 (우) 온라인 커뮤니티


그런데 실상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현재 청년임대주택과 비슷한 유형의 주거 형태가 들어선 곳에서 주민들이 우려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오히려 청년들이 모이다 보니 상권이 활발해지는 등 지역사회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문화 공간 등이 형성됐고, 오히려 집값이 오르는 효과도 볼 수 있었다.


또한 주택 공급이 늘자 그만큼 자연스럽게 수요도 늘었다. 임대업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없었다.


인사이트MBC '자체발광 오피스'


이처럼 청년임대주택을 반대하고 나서는 인근 주민들의 우려는 현실이 아니다.


하지만 무조건 "우리 지역에는 안 돼"라는 지역 이기주의 때문에 정책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정책을 홍보하고 주민들을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민들 역시 당장 눈앞에 보이는 손해만 따져 반대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지역 사회에 끼칠 긍정적인 영향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청년들이 모이면 그곳에서 지역 발전의 새로운 기회가 열릴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지역 이기주의를 넘어 청년들과 함께하겠다는 과감한 선택을 했을 때 청년에게도, 지역 사회에도 청춘이 찾아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