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16℃ 서울
  • 8 8℃ 인천
  • 16 16℃ 춘천
  • 15 15℃ 강릉
  • 16 16℃ 수원
  • 13 13℃ 청주
  • 13 13℃ 대전
  • 11 11℃ 전주
  • 13 13℃ 광주
  • 16 16℃ 대구
  • 18 18℃ 부산
  • 16 16℃ 제주

박근혜 정부때 끊겼던 남북연락채널 1년 11개월만에 복구

판문점에 설치된 남북직통전화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끊긴지 1년 11개월만에 복구됐다.

인사이트복구된 직통전화로 북측과 통화하는 우리측 관계자 / 통일부 제공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완전히 끊겼던 남북 연락채널이 1년11개월만에 복구되게 됐다.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3일 오후 3시30분(북한 시간 오후 3시)부터 판문점 연락채널을 개통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판문점 채널 재개통에 따라 남북간 연락수단이 복구되는 건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북한이 연락채널을 모두 끊어버린 지 23개월 만이다.


당시 북한은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을 발표한 뒤 하루 만인 2월 11일 개성공단을 폐쇄하겠다면서 판문점 연락채널과 군통신선 차단을 선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판문점 채널과 서해 군 통신선 등 남북간에 설치된 40여회선의 연락통로가 모두 끊어진 상태였다.


인사이트연합뉴스


남북간 연락채널은 과거에도 단절과 복원을 반복해왔다.


박근혜 정부 취임 직후인 2013년 3월에도 북한은 판문점 연락 중단을 일방적으로 선언했다.


약 한 달 전 있었던 3차 핵실험에 대응해 유엔 안보리가 제재에 나서고 한미합동군사연습이 진행되는 데 따른 불만 표시로 1991년 체결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폐기를 선언하며 연락 채널도 끊어버린 것이다.


그러다 북한은 약 3달 뒤인 6월 6일 당국간 회담을 제의하며 판문점 연락채널 복원을 시사했고 다음날인 7일 오후 2시 먼저 전화를 걸어오는 방식으로 채널을 되살렸다.


하지만 닷새 뒤인 12일 북한은 당국회담 무산의 책임을 남쪽에 돌리며 또다시 통화에 응하지 않다가 22일만인 7월 3일에야 통화가 다시 성사되기도 했다.


인사이트통일부 제공


북측은 2010년 5월에도 우리 정부가 천안함 피격 사건에 대응해 남북교역을 전면 중단하는 5·24조치를 단행하자 판문점 채널을 닫아버렸다가 2011년 1월 복원했다.


그 전에도 북한은 2008년 11월 우리 정부의 유엔 대북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 참여를 문제 삼아 판문점 연락채널을 차단했다. 그러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따른 북측 조문단 파견을 계기로 2009년 8월 채널이 복원됐다.


판문점 남북연락사무소 연락관들은 통상 5회선이 설치된 직통전화로 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 9시에 업무개시 통화를, 오후 4시께 마감 통화를 해왔다. 북한이 통화에 응하지 않을 때도 우리 쪽에서는 꾸준히 통화를 시도해왔다.


판문점 연락채널이 복원되면서 서해 군통신선 등 다른 채널도 되살아날지 관심이 쏠린다. 서해 군통신선은 개성공단 출입경 내역을 북측에 통보할 때 이용됐지만 가동중단과 함께 단절됐다.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